오늘날 사람들은 텔레비전이나 OTT 플랫폼을 통해 상영되는 영화에 대해 다양한 소식을 접할 수 있는데요. 영화를 홍보하는 방법과 수단으로 이전에 비해 더욱 새롭고 창의적인 방식들이 시도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약 100년 전, 영화가 막 유입되고 극장이 설립되던 시대에는 과연 어떠한 방식으로 영화를 홍보했을까요?
1920─30년대에는 영화 산업이 확장되기 시작합니다. 각 극장에서는 관객을 모으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광고를 내보냅니다. 전단지나 주보를 제작해 배포하기도 하고, 신문 지면을 통해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1926년 9월 19일 자 동아일보 기사에는 나운규가 감독이자 주연인 영화 〈아리랑〉의 요약된 줄거리와 함께 극중 주인공들의 모습이 실렸습니다.
“조선영화배우계 일류스타인 나운규를 중심으로 현대극 아리랑을 촬영 중인 바. 여배우로는 신홍련이라는 신진 여배우가 출연하였으며 이 영화의 특별한 것은 엑스트라를 수백명이나 썼다. […]”라는 사실을 이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1927년 10월 26일 자 동아일보에는 눈에 띌 정도로 큰 활자의 영화 제목과 그 옆에는 작품 개요와 더불어 상영 극장 및 날짜, 그리고 총감독, 각색가, 영상감독, 출연자 등이 소개되고 있습니다. 커다란 활자가 눈에 띄기 때문에 지나가다가 흘깃 보아도 사람들에게 크게 각인이 되었을 것 같죠?
이때는 대개 ‘문자’ 중심 광고가 주를 이뤘기 때문에 영화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수록된 형태였습니다. 해방 이후에는 ‘시각적 디자인’ 중심의 광고로 진화함에 따라 보다 대중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광고가 많이 등장했습니다.
신문박물관은 당시의 영화 광고 전단 2점을 소장하고 있습니다. 1966년 1월 30일 발행된 최무룡 감독의〈限(한) 많은 石(석)이 엄마〉와 1960년 4월 5일 발행된 리처드 브룩스 감독의〈카라마조프의 兄弟(형제)〉입니다.
청계극장에서 발행한 이 전단에는 반절 이상 차지하는 영화 제목과 이에 못지않게 시선을 사로잡는 주연배우들의 리얼한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역시 상영 날짜와 극장, 주연배우들의 이름, 짧은 시놉시스까지 영화의 주요 정보들이 낱장의 작은 전단지 안에 꽉 차게 담겨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영화 광고 전단은 대중들의 수요에 적극적으로 부응하면서 발전을 거듭하여 해방 이후에도 꾸준하게 제작되었습니다. 한국 영화사의 전체적인 흐름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영화 광고 전단이 한국의 영화문화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우리 신문박물관이 소장하는 영화 광고 전단 역시 한국 영화 및 인쇄매체의 역사를 증명할 수 있는 하나의 근거로서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