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전시
아이돌로그래피: 프레시움에서 읽는 K-POP with MyK FESTA
2025년 6월 5일 - 2025년 6월 29일
idolography

일정
2025년 6월 5일(목)—2025년 6월 29일(일)


장소
신문박물관 5층

관람 시간
화─일요일
오전 10시─오후 6시 30분
*일민미술관 전시 중에는 오후 7시까지 운영

주최
신문박물관 PRESSEUM, 일민미술관, 채널A,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참여작가

김혜원, 노상호, 박광수, 이동훈, 이플리

관장

김태령

박물관팀
윤율리, 최원경, 김현주, 장해림, 이윤하, 배윤주

교육
여경훈

관리
송미선, 박주현


그래픽 디자인
페이퍼프레스

시공
석운동


설치
현대 ADP, 그라운드57

도움

아라리오갤러리
갤러리에스피

오늘날 한국 대중문화는 복합적인 문화 현상으로 우리 일상과 감각 속에 자리합니다. 특히 K-POP이 만들어내는 이미지, 이야기, 세계관은 예술 장르를 넘어 동시대 미디어 환경과 유기적으로 얽혀 변화하고 있습니다. 신문박물관 프레시움이 개최하는 여름특별전 《아이돌로그래피: 프레시움에서 읽는 K-POP with MyK FESTA》은 K-POP이라는 거대한 문화 텍스트를 다각도로 독해하는 시도입니다. 전시 제목인 ‘아이돌로그래피(Idolography)’는 팝 문화의 상징적 존재인 ‘아이돌(Idol)’과 특정 대상에 대한 기록 혹은 시각적 기술(記述)을 의미하는 접미사 ‘–그래피(–graphy)’의 합성어입니다. 이는 미술과 미디어 아카이브, 유물을 통해 대중문화의 지형을 새롭게 탐색하고 그 의미를 발견하려는 전시의 목표를 함축합니다.

대중문화의 역사는 미디어의 역사와 궤를 같이합니다. 프레시움이 소장한 동아일보 및 동아방송(DBS)의 자료는 대중문화가 어떻게 우리와 관계 맺으며 현재의 모습으로 진화했는지 보여줍니다. 신문 지면과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전달되고 기록된 K-POP의 아이콘은 정보의 유통뿐 아니라 특정 시대의 기억을 형성하는 문화적 상징을 구축합니다. 이번 전시는 K-POP의 시각 체계와 세계관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이를 예술적 언어로 재해석하는 동시대 작가들의 창작 방식에 주목합니다. 김혜원, 노상호, 박광수, 이동훈, 이플리는 회화, 조각, 영상, 설치, 그리고 디자인의 경계를 넘나들며 여러 문화 현상에서 끌어낸 영감과 사유를 펼쳐 보입니다. 이들의 작업은 K-POP의 상징을 확장하거나 해체하고, 때로는 그 안에 내재된 서사를 매개로 팬덤 문화와 교감하는 미적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는 K-POP이 동시대 예술의 원천이 되며, 예술은 K-POP의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음을 증명합니다.

《아이돌로그래피》는 우리 시대의 문화에 기반한 과거의 기록과 현재의 창조가 공존하는 전시입니다. 프레시움에서 펼쳐지는 이번 기획이 예술, 대중문화, 미디어가 맺는 유기적 관계를 밝히는 흥미로운 여정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보편적인 문화로서 K-POP의 미래를 가늠하고 미학적 지평을 넓힐 계기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Contemporary popular culture is a complex cultural phenomenon that permeates Korean’s daily lives and senses. In particular, the imagery, narratives, and worldview found in K-pop transcend genres as they engage dynamically and are transformed within the media environment. The summer special exhibition Idolography: Reading K-pop at the Presseum with MyK FESTA aims to interpret the vast cultural text of K-pop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 exhibition title, “Idolography,” is a compound of “idol”—here meaning an iconic figure from pop culture—and the suffix “-graphy.” It encapsulates the exhibition’s aim of reexploring the landscape of popular culture to reveal its deeper meanings through art, media archives, and cultural artifacts.

The history of popular culture is interwoven with the development of mass media. Archival materials from the Dong-A Ilbo and Dong-A Broadcasting System now housed in the Presseum help reveal how popular culture has influenced people’s lives and evolved into its present form. K-pop icons captured in newsprint and broadcasts are not only vehicles for information distribution, but cultural symbols that shape the collective memory of their given era. This exhibition highlights the creative approaches taken by contemporary artists who actively engage with K-pop’s visual systems and worldview, reinterpreting them through the language of art. Kim Hyewon, Noh Sangho, Park Gwangsoo, Rhee Donghoon, and Leefly (Lee Seoyoung) traverse the boundaries of painting, sculpture, video, installation, and design. Drawing inspiration from a wide range of cultural phenomena, they present their thoughtful reflections and artistic expression. Their works expand or deconstruct symbols of K-pop, and at times use the embedded narratives as a leverage to connect with fandom culture and offer aesthetic experiences. This process demonstrates how K-pop can serve as a wellspring for contemporary art, while art can enrich the meaning of K-pop in return.

Idolography is an exhibition where records of the past rooted in the culture of their time coexist with acts of creation in the present. It is hoped that this initiative by the Presseum will provide a compelling journey that reveals the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art, popular culture, and media. Moreover, we envision this exhibition as an opportunity to broaden the aesthetic horizons of K-pop and anticipate its future as a universal cultural form.